자유게시판

5분 숲해설⑪(나비의 자매, 나방에 대한 편견)...

황승현 | 2014.11.28 19:56 | 조회 6124
1. 참나무산누에나방...
태극모양의 문양이 특이합니다...
천적인 새를 놀라게 할...
눈모양같기도 하네요...

2. 옥색긴꼬리산누에나방...
10글자의 이름...
긴 이름만큼 고운 색과 우아함을 자랑합니다...

3. 주홍박각시...
예쁜나방중의 하나...
비행하는 모습이 벌같습니다...
더듬이도 나방과 같은 빗살모양이 아니지요...

'박각시'의 이름의 유래는 밤에 피는 박꽃을 찾아가 꿀을 빠는 모습으로 신랑인 박을 찾아온 각시라는 뜻이라네요...
북한에서는 박가시를 '박나비'라고 한다고...







나방이 나비무리의 90%를 차지한다(우리나라 나비 260여종, 나방 3,500여종)

나방은 대부분 밤에 활동하고 앉을 때 날개를 펴고 앉는다
더듬이 모양이 빗살 모양이거나 끝이 뾰족하며 비늘조각 또한 끝이 뾰족하다
나비는 앞뒤 날개를 따로 움직여 날지만 나방은 앞뒤날개를 “날개가시”로 연결하여 난다

나비, 나방 모두 갖춘탈바꿈(알-애벌레-번데기-어른벌레) 한다

보통 나방의 애벌레들이 알에서 깨어 나오면서부터 애벌레로 성장하며 먹는 양은 어마 어마하다
번데기가 되기 전까지 처음 체중의 최고 팔 만배 이상 성장하지만
정작 어른벌레 때에는 입이 퇴화되어 먹지 않는 종이 많다

나방은 수컷과 암컷의 더듬이가 다르다
암컷의 더듬이는 단순하지만, 수컷의 더듬이는 마치 깃털처럼 정교한 모양이다

나방은 날기전에 몸을 흔들어서 열을내어 체온을 높인뒤 난다

나비는 짝을 날개의 무늬를 눈으로 보고 찾고, 나방은 냄새를 맡아 찾는다

나방은 달의 위치와 자신이 날아가는 방향의 각도를 늘 직각이 되도록 유지한다
하지만 인공불빛은 무척 가까워 조금만 날아도 위치가 달라져 비행각도를 유지하기위해 자꾸만 방향을 바꾸며
그러다 보니 소용돌이속에 빠져들어 점점 불빛에 다가간다

낮에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나방은 꽃에서 꿀을 빠는 곤충세계의 벌새라고 하는 “꼬리박각시”이다
박각시류는 다른 나방에 비해 몸이 뚱뚱하고 날개가 좁지만 날개와 가슴근육이 발달하여 날면서 멈추고 돌거나
수평을 유지하며 급가속, 급정지도 할 수 있다

나방은 고치를 만든다
번데기가 되기전 입에서 뽑은 실로 번데기방(누에고치-명주실)을 만드는 누에나방으로는 참나무산누에나방,
유리산누에나방, 옥색긴꼬리산누에나방(가장 아름답다) 등이다

나방중에는 나비보다 빛깔이 곱고 무늬가 멋진 종들이 많다
다만 서식하는 곳에 따라 색깔이 다를 뿐이다

나방의 천적은 새이다. 그런데 새는 밤눈이 어둡다
그래서 나방은 주로 밤에 활동하는 것이다

* 나비가 젖은 바위나 축축한 땅에 앉아 있는 것은 무기염류을 섭취하기 위해서다


# 알고 보면 유용한 나방

1. 경제성
몇 천년 전부터 사람에게 이용되어 온 비단을 안겨 주기 위해 누에는 번데기를 보호하는 고치를 만들기 위해 실을 토해 낸다
누에 애벌레 입 옆의 토사선에서 실을 토해낸다

2. 잡초 방제 역할
누에 외에 해충으로만 알려진 나방을 이용해 잡초방제에 성공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채소재배지역, 목초지 작물에 피해를 입히는 외래잡초, 돌소리쟁이만을 먹는 분홍들명무늬나방 연구가 그것이다

3. 생태계 순환계 역할
일반적으로 숲을 대표하는 텃새인 박새, 곤줄박이새 등이 가장 즐겨먹는 것이 나방,
새들은 나방을 가장 전적으로 의존하는 먹이로 한다
생태계 내에서 1차 먹이자원으로서의 역할을 해내는 나방은 존재 자체로 존귀하다


옥색긴꼬리산누에나방...
http://flworld.com/64655#popup_menu_area

꼬리박각시나방...
http://blog.daum.net/kimnamsook/17205148

박각시나방에 대하여...
http://blog.daum.net/moowooland/4274

http://blog.daum.net/hwangsh61/224

http://blog.daum.net/hwangsh61/1394

http://www.sup.or.kr/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7,264개(11/364페이지)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모바일 홈페이지 PC모드 작동법 한국숲해설가협회 178714 2020.08.14 15:59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 안내 [4+1] (사)한국숲해설가협회 201750 2012.09.04 10:37
공지 협회 강의장 움터 대여 안내 (사)한국숲해설가협회 204429 2012.05.11 17:39
7061 [전국귀농운동본부] 보다 행복한 삶을 위해서, 보다 인간다운 삶을 살아가 이현진 3937 2021.05.07 12:02
7060 모바일 숲해설사 선생님을 모십니다. 최하나 5753 2021.05.02 13:47
7059 [전국귀농운동본부] 소비에서 생산으로, 파괴에서 살림으로 이현진 3934 2021.04.20 15:47
7058 인간의 행복호르몬은 세로토닌, 식물의 행복호르몬은? 김호걸 5813 2021.04.18 21:15
7057 숲해설가 활동을 할 방법이 없을까요? 김호걸 5101 2021.03.30 16:02
7056 답글 RE:숲해설가 활동을 할 방법이 없을까요? 이남섭 5794 2021.03.30 20:29
7055 답글 RE:RE:숲해설가 활동을 할 방법이 없을까요? 김호걸 8232 2021.03.30 21:54
7054 국립세종수목원 해설프로그램 안내 한국숲해설가협회 6101 2021.03.04 15:54
7053 모바일 나무회화전 사진 첨부파일 최진수 4086 2021.02.24 18:47
7052 2021년 산림청 자원봉사 사업 숲해설가 모집 조혁균 5067 2021.02.14 19:02
7051 [서울 그루경영체 추가모집(~2/9) ]산림자원을 활용하여 '소득증대'와 사진 첨부파일 이나라 7256 2021.02.02 18:01
7050 [전국귀농운동본부] 12기 자립하는 소농학교 교육생을 모집합니다. 이현진 4179 2021.01.28 17:34
7049 생태가치와 자립하는 삶을 위한 생태귀농학교 이현진 4179 2021.01.26 14:27
7048 모바일 회원가입 첨부파일 도윤지 4470 2021.01.13 08:26
7047 산림치유지도사 수강생 모집 안내 사진 첨부파일 한국숲해설가협회 5687 2021.01.06 15:20
7046 국립산림치유원 온라인 연수 한국숲해설가협회 6965 2020.12.07 10:29
7045 아이들을 사랑하는 숲놀이 선생님을 모십니다!! 사진 첨부파일 홍정민 6382 2020.12.03 22:47
7044 모바일 매주 한번 꽃이야기 전해주는 뉴스레터 소개합니다. [1] 정필범 4817 2020.10.31 17:44
7043 '2020 우리 산림생물 바로알기 온라인 탐험대' 행사 안내 한국숲해설가협회 6436 2020.10.14 20:07
7042 모바일 나무회화전 사진 첨부파일 [1] 최진수 5091 2020.10.07 20:57

  • 본 사이트는 이메일주소를 무단수집하는 행위를 거부합니다. [법률 제 8486호]

    주소 : 06753 서울시 서초구 바우뫼로 158(양재동 유창빌딩 4층)

    대표전화 : 02-747-6518 팩스 : 02-747-6519 이메일 : foresto123@hanmail.net

    Copyrights © 2020 www.foresto.org All right reserved.